설군의연구소

선 전하 밀도가 각도의 함수인 경우의 전하 분포 본문

물리학/일반물리학

선 전하 밀도가 각도의 함수인 경우의 전하 분포

설군 2022. 7. 2. 13:52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설군입니다.

다음과 같이 고리 모양의 전하 분포가 있는데, 그 전하의 선 전하 밀도가 각도에 관한 함수인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이 때 고리 전하의 총 전하량은 QQ이고, 원점 OO에 만드는 전기장을 구하고자 합니다. 가우스 법칙을 이용해서 구할 수는 없고, 쿨롱의 법칙을 이용 해서 적분으로 풀어야 합니다.
먼저, 선 전하 밀도가 각도에 관한 함수라는 건 무슨 말일까요? 각도에 따라 전하 밀도가 다르다는 뜻입니다.
이 때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각도가 어떻게 정의되냐를 살펴봐야 하는데, 각도는 +x+x축으로부터의 각도라고 생각해봅시다, 그림으로 다시 그려보면 다음과 같은 의미입니다.

각도 θ=0\theta=0^\circ인 경우에 그 곳의 전하 밀도가 최대이니 색깔을 가장 진하게 표시했고, 각도가 점점 커질 수록 cosine값은 점점 작아져 θ=90\theta=90^\circ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정확하게 +x+x축을 향하는 위치이고, 그 위치에는 전하 밀도가 최소가 되어 0일 거예요. 이게 지금 xyxy좌표 평면에서 4사분면의 얘기고, 3사분면의 경우에도 정확하게 대칭적인 전하 분포를 이루게 됩니다.

문제에 모순이 없는지를 생각해봅시다. 문제에서 고리의 총 전하량이 QQ라고 했으므로, (잠정적으로)전하는 모두 양전하라고 하고, 그 양전하의 분포가 각도가 증가할수록 점점 감소하는 그런 상황이고, 이 상황에서 원점에서 만드는 전기장을 구하는 것입니다.

쿨롱의 법칙을 적용해서 미소 전하가 만드는 전기장을 구하기 위해 다시 그림을 그려봅시다.

그림으로 표시한 것처럼, 미소 전하 dqdq가 원점에 만드는 전기장은 파란색으로 표시한 화살표와 같은 방향일 테고, 그 크기는 dEdE라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그 전기장 벡터의 각도는 그림에 표시한 것처럼 전하의 위치 각도와 동일한 각도입니다. 그런데, 이 미소 전하와 정확하게 yy축에 대칭점인 곳에 있는 미소 전하를 생각해보면,

이렇게 그릴 수 있습니다. 서로 대칭점에 있는 미소 전하가 만드는 전기장 벡터를 살펴보면, 서로 xx축 성분은 상쇄되고, yy축 성분만 남습니다. 두 개의 대칭적인 위치에 있는 미소 전하가 만드는 전기장의 yy축 성분의 크기는 결국, 하나의 미소 전하가 만드는 전기장의 두 배입니다. 그리고 이 사실은 고리 위의 모든 전하에 대해서 적용되므로, 이 고리 전체가 원점에 만드는 전기장의 xx성분은 아예 없습니다.
그리고 고리의 절반만을 생각해서 그 절반 고리가 원점에 만드는 전기장의 yy성분만을 구한 후, 그것을 두 배 해주면 문제의 정답이 됩니다. yy성분은 sin(θ)\sin (\theta) 를 곱해준 것이 됩니다. (dEy=dEsin(θ)dE_y = dE \sin (\theta))
(혹은 고리의 전체를 생각해서 그것이 원점에 만드는 전기장의 yy성분만을 구한 후, 두 배를 안해줘도 됩니다)

미소 전하가 원점에 만드는 전기장의 전체 성분은

dE=14πε0dqR2 d\vec{E} = \frac{1}{4\pi \varepsilon_0} \frac{dq}{R^2}

인데, 이것의 yy성분만을 생각하면

dEy=14πε0dqR2sin(θ) dE_y = \frac{1}{4\pi \varepsilon_0} \frac{dq}{R^2} \sin (\theta)

그리고 이걸 각도가 90-90^\circ부터 9090^\circ까지 적분해주면 됩니다.

Ey=π2π2dEy=14πε01R2π2π2dq=14πε01R2π2π2λdl=14πε0λ0R2π2π2cos(θ)sin(θ)dl \begin{split} E_y =& \int_{-\frac{\pi}{2}}^{\frac{\pi}{2}} dE_y \\ =& \frac{1}{4 \pi \varepsilon_0} \frac{1}{R^2} \int_{-\frac{\pi}{2}}^{\frac{\pi}{2}} dq \\=& \frac{1}{4 \pi \varepsilon_0} \frac{1}{R^2} \int_{-\frac{\pi}{2}}^{\frac{\pi}{2}} \lambda dl \\ =& \frac{1}{4 \pi \varepsilon_0} \frac{\lambda_0}{R^2} \int_{-\frac{\pi}{2}}^{\frac{\pi}{2}} \cos (\theta) \sin(\theta) dl \end{split}

입니다. 이 때, dl=Rdθdl = R d\theta이고, 2cos(θ)sin(θ)=sin(2θ)2 \cos(\theta) \sin(\theta) = sin (2 \theta)이므로,

=14πε0λ0R2π2π212sin(2θ)dθ=14πε0λ0R21212[cos(2θ)]π2π2=14πε0λ0R214[cos(π)+cos(π)]=14πε0λ0R212 \begin{split} =& \frac{1}{4 \pi \varepsilon_0 } \frac{\lambda_0}{R^2} \int_{-\frac{\pi}{2}}^{\frac{\pi}{2}} \frac{1}{2} \sin(2\theta) d\theta \\ =& \frac{1}{4 \pi \varepsilon_0 } \frac{\lambda_0}{R^2}\frac{1}{2} \frac{1}{2} \left[ - \cos (2\theta) \right]_{-\frac{\pi}{2}} ^{\frac{\pi}{2}} \\ =& \frac{1}{4 \pi \varepsilon_0 } \frac{\lambda_0}{R^2}\frac{1}{4} \left[ -\cos(\pi) + \cos(-\pi) \right] \\ =& \frac{1}{4\pi\varepsilon_0 } \frac{\lambda_0}{R^2}\frac{1}{2} \end{split}

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문제의 고리가 만드는 전기장의 크기입니다!

만약 원점에 전하량 qq인 양전하 혹은 음전하가 놓여 있고, 고리로부터 양전하에게 가해지는 전기력의 크기와 방향을 묻는다면?

전하량이 qq인 양전하가 전기장 EE로부터 받는 전기력의 크기는 F=qEF=qE이므로, 바로 앞에서 구한 전기장의 크기와 점전하의 전하량을 곱해주면 힘의 크기가 나옵니다. 방향은 우리가 yy방향밖에 없는 걸 알고 있으므로, 힘의 방향도 그렇습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