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운동량 (2)
설군의연구소

안녕하세요, 설군입니다. 좋아보이는 문제입니다. 끊어졌을 때에는 힘이 달라질것이므로 가속도가 달라질것입니다. 따라서 A의 속력-시간 그래프인 (나)에서 그래프의 기울기가 바뀐 지점 즉 가속도가 바뀐 지점인 2초인 순간이 바로 실이 끊어진 순간입니다. 먼저 0-2초일 때 A의 가속도는 5 m/s^2이고 2초 이후에 A의 가속도는 10 m/s^2입니다. 실이 끊어지기 전 B의 가속도도 5였겠죠. 그런데 B의 가속도는 실이 끊어지기 전과 후가 (크기가) 같다고 합니다 즉 끊어지기 전에는 위로 5 으로 가속받고있었는데 끊어진 후에는 아래로 5 으로 가속받고 있다는 듯이네요 이와같이 각각의 물체에 대해서 운동 방정식을 세우면 다 풀 수 있네요. [ㄱ] O 운동 방정식을 통해서 m=4 라는 걸 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군입니다. 운동량 보존 법칙에 대해서 다룰것입니다. 일차원에서 운동량 보존 법칙 예제를 풀어보며 이해하고, 평면 상에서 x축 따로 y축 따로 운동량 보존 법칙을 적용하는 것을 다뤄볼것입니다. 운동량은 질량 m을 가진 어떤 물체가 속도 v(벡터)로 운동할때 그 물체는 운동량을 가졌다고 표현하며, 그 물체가 가진 운동량의 크기를 위의 식과 같이 표현합니다. 충격량은 물체에 t라는 시간동안 F라는 힘을 가했을 때, '물체가 받은 충격량은 몇이다' 이런 식으로 표현하며 그 물체가 힘을 받는 시간과 그 힘벡터의 곱으로 나타냅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충격량 = 운동량의 변화량 이라는 것. 예제를 봅시다. 어떤 3 kg짜리 물체가 4 m/s로 오른쪽으로 달리고 있습니다. 이때 오른쪽 방향의 3 N의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