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71)
설군의연구소
https://m.blog.naver.com/chapoong1/222628951535 농부 출신(수박농사) 만학도 공근식님...러시아 모스크바 물리기술대 수석 졸업/현재 박사과정('1우연히 읽고 눈물이 났다.. 기사 한 줄 한 줄에서 학업에 대한 그의 열정과 어마어마한 노력이 느껴져 기사...blog.naver.com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2866990 농부 출신 만학도 공근식씨 "항공공학자 꿈 이룰 것"러시아 모스크바물리기술대 수석졸업수박농사 짓다 대학교 진학40대에 러시아 유학길 올라전과목 A+, 논문도 최우수"한국 취약한 극초음속 분야대학원 가서 ...n.news.naver.com농부 출신 만학도 공근식씨의 이야기다.지나가면서 읽게 된 글이다.수박 농..
https://youtu.be/E0qioILEZB0?si=qAXmefbvNfG7JfNp 나는 평소에 글을 쓸 때, 좋은 한국어 문장을 작성하기 위해서 노력을 많이 한다.내가 하고 있는 노력은 '간결하게 쓰기' 였다.경험적으로, 그리고 다른 글 쓰는 법에 대한 글을 읽다 보면 간결하게 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이야기한다.그런데 생각해보면, 나는 또다른 노력을 하고 있었다. 최대한 번역투를 피하는 것!이 영상에서도 번역투를 피하고, 고유 한국어 문장 다운 문장을 쓰는것을 추천한다.이 영상을 보고 나서 내가 하고 있던 노력이 정확하게 어떤 것이었는지 확실하게 정리되었다.이걸 계기로 더 정진(?) 할 수 있을것 같기도...

안녕하세요, 설군입니다. 구면 좌표계에서 적분을 할 때, 구면 좌표계에서의 부피 요소를 기억해내야 합니다. 다음 그림을 기억하면 쉽게 공식을 기억해낼 수 있습니다. 구면 좌표계에서는 z축으로부터 임의의 점까지의 각도를 $\theta$ 로 나타냅니다. 그리고 x축으로부터 임의의 점까지의 xy 평면 상에서의 각도를 $\phi$ 로 나타냅니다. 그리고 원점으로부터 임의의 점까지의 직선 거리를 $r$ 로 나타냅니다.그래서 한 점을 나타내는 좌표는 $r$, $\theta$, $\phi$ 로 결정됩니다. 그 점을 그림상에서 노란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이제 임의의 한 점에서, 각 변수들을 약간만큼 증가시켜서 각각 $\Delta r$ 만큼 길이를 증가시키고, $\Delta \theta$ 만큼 z축으로부터의 각도를 살짝..

이과 학생 분들은 발표 자료를 만들거나 그룹미팅/랩미팅 자료 만들 때에 보통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파워포인트를 사용하실 텐데,사진이 많고 자료가 많아지면 용량이 점점 감당할수 없게 되는것을 저는 경험하고 있어서...학교에서 제공하는 구글 계정 (구글 드라이브 용량을 지원해줌) 이 있는데 이왕이면 구글 문서, 구글 슬라이드 같은 걸 이용하면 편하지 않을까 싶어 몇달전부터 이용중입니다. 특히나 구글 슬라이드는 연동성도 좋고 안정성도 있고 좋은데, 수식 기능이 없어서 아쉬웠는데요,확장 프로그램 하나를 소개하려 합니다. 원래 무료였는데 이번에 유료가 된거 같아요.그런데 1년에 15 달러 정도로 저렴해서 충분히 지를만 하다고 생각합니다.구글 문서나 구글 슬라이드의 메뉴에서 *확장 프로그램* 에서 검색하여 설치할 ..

안녕하세요, 설군입니다.위의 그림과 같이 임의의 속력 $v_0$ 로 출발한 물체가 빗면을 따라 올라가는 상황입니다.물체의 위치-시간 그래프를 그려보니 위와 같이 그려졌다고 합시다.물체는 일정한 가속도를 받을것입니다. 빗면 방향으로 위로 향하면서 올라가는데, 점점 속력이 줄어드는 운동을 할 테고그 속력은 시간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줄어들 거예요. 물체의 위치-시간 그래프를 보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위치가 표시되어 있습니다.그리고 물체의 위치는 항상 증가 만 합니다. 그래서 일정한 시간 간격동안 물체가 *이동한 거리* 가 표시되어 있다고 봐도 됩니다.특정 시간 동안 물체가 이동한 거리를 알면, 평균 속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text{(평균 속력)} = \frac{\text{(총 이동한 거리)}}{\..

안녕하세요, 설군입니다. 계 라는 건 내가 관심이 있는 부분을 말합니다.고정 도르래에 매달린 두 물체를 생각해봅시다.두 물체 중 물체 A에 관심이 있는 경우는, A라는 계에 대해서 생각한다 라고 말합니다.두 물체를 합쳐서 한 덩이로 보고 분석하는 경우에는, 물체 A와 물체 B를 하나의 계로 보고 생각한다 라고 말합니다. 물체 A에 대해서만 생각하면, 물체 A가 받는 힘을 그려볼 때이렇게 그려집니다. 이게 이 계의 운동 방정식인 셈입니다. 물체 A가 받는 힘은 위로 실이 잡아당기는 장력과,지구가 물체 A를 잡아당기는 중력 뿐입니다. 물체 A 계의 역학적 에너지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생각해봅시다.A의 경우 위로 가속 운동 하게 되므로 속력이 점점 증가하고, 높이도 증가합니다.따라서 운동 에너지도 증가할 테고..

안녕하세요, 설군입니다.위의 그림과 같이 두 물체 A, B가 있습니다. 두 물체는 처음 속도가 $+x$ 방향으로 각각 $8 \ \mathrm{m/s}$ , $2 \ \mathrm{m/s}$ 이고, 각각 가속도가 $+x$ 방향으로 $1 \ \mathrm{m/s^2}$, $2 \ \mathrm{m/s^2} $ 입니다. 둘이 처음에 떨어져 있는 거리는 $12 \ \mathrm{m}$ 입니다. 두 물체의 속도-시간 그래프를 한 그래프에 같이 그려봅시다.이렇게 그릴 수 있습니다. 물체 A, B 의 초기 속도가 주어져 있으므로, 속도 축의 절편에 직선 그래프를 맞추어주면 되고, 가속도가 일정한 등가속도 운동이므로 그래프의 모양은 기울기가 있는 직선 모양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 그래프의 기울기들은 각각 가속도를 의..

MathJax = { tex: {inlineMath: [['$', '$'], ['\\(', '\\)']]} }; 안녕하세요, 설군입니다.그림과 같이 P 지점에서 출발한 물체가 R 에 도착하였습니다. 총 걸린 시간은 10 초이며, 물체의 속도-시간 그래프가 주어졌습니다. 임의의 지점 P, Q, R 이 표시되어 있는데 각각 사이 간격은 25 m 입니다. * 이동한 거리물체가 P 지점부터 R 지점까지 이동한 거리는 얼마나 될까요? 25 + 25 = 50 m 일까요?운동이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에 따라서 이동한 거리는 50 m 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앞으로 갔다 뒤로 갔다 하는 운동을 했을수도 있으니까요.그러나 이 문제의 경우에는, 물체가 앞으로만 운동했다는 사실을 속도-시간 그래프를 ..

안녕하세요, 설군입니다. 물리학에서는 미분 방정식이 매우 많이 등장합니다. 뉴턴의 법칙 중 하나인 *가속도의 법칙* 또한 미분 방정식의 일종이고, 양자역학에서 유명한 *슈뢰딩거 방정식* 또한 미분 방정식의 일종입니다. 대학생 때 물리학과 과목으로 개설되었던 *미분 방정식* 이라는 과목을 재미있게 공부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Dennis G. Zill 의 A first course in differential equations with modeling applications, 10th 교과서로 공부하였습니다. (한글 제목으로는 *미분방정식 입문* 입니다.) 미분 방정식은 도함수를 포함하는 방정식입니다. 일계 미분이냐, 이계 미분이냐 상관 없이 포함만 되어 있으면 미분 방정식입니다. 만약 $y'$ 을 포함한다..

안녕하세요, 설군입니다.그림과 같이 빗면에 도르래가 고정되어 있고, (가), (나) 의 두 가지 상황이 있습니다. 물체 A의 질량은 모르는 상태이고, 물체 B, C의 질량은 각각 $m$, $4m$ 입니다. 물체 A의 가속도의 방향은 화살표로 표시하였습니다. (가), (나) 모두 빗면의 각도는 동일한 상황이며, 빗면과의 마찰 등은 무시하는 상황입니다. 두 상황에서, 물체들에 대해 각각 운동 방정식을 세워 분석해봅시다.(가) 상황에서, 먼저 물체 A에 대해서, 물체 A가 받는 모든 힘을 표시하면 위와 같습니다. 여기서, 물체 A는 빗면에 놓여 있으므로, 중력이 물체 A를 잡아당기는 힘의 빗면 방향 성분을 따져야 합니다. 그 힘의 크기를 $m_{\mathrm{A}} g'$ 으로 표현하였습니다. 물체 A의 질량..